Web2 vs Web3
Web3: 참고 https://ethereum.org/en/developers/docs/web2-vs-web3/
Last updated
Web3: 참고 https://ethereum.org/en/developers/docs/web2-vs-web3/
Last updated
web2는 현재 우리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버전을 말한다. 개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대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들로 이루어진 인터넷이다. Web3는 이더리움의 관점에서는 블록체인에서 동작하는 탈중앙화된 응용프로그램 (decentralized app, dapp)을 의미한다. 이 응용프로그램들은 누구나 개인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고 참여할 수 있다.
Web3 개발자들은 아래 특성들의 이점을 취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누구나 서비스를 사용할 권한이 있다. 다른 말로는 권한 자체가 필요없다.
누구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거절할 수 없다.
지불 수단이 native token인 ETH이다.
이더리움은 turing-complete이다. 이것은 거의 모든 것을 프로그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Web3는 현재 몇가지의 한계점을 가진다.
Web3의 transcation은 중앙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느리다. 상태의 변화는 miner에 의해 처리되고 네트워크로 전파되어야하는데 이는 느리다.
Web3 어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것은 몇개의 단계를 더 필요로 한다. 진입장벽이 있다.
블록체인에서 코드를 돌리는 것은 비싸다.
모든 네트워크가 위의 특성들을 공통적으로 따른다는 소리는 아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도 종류가 많고, 완전히 탈중앙적인 네트워크는 없다. 어느정도까지의 탈중앙화를 제공할 것인가에 따라 특성은 달라진다.
Last update: 04/18/0201
Web2
Web3
트위터는 계정이나 트윗을 검열할 수 있다.
Web3의 트윗은 탈중앙화되어 검열할 수 없다.
지불 서비스가 어떤 일에 대하여 거절될 수 있다.
Web3의 지불은 개인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거절될 수 없다.
gig-economy 앱용 서버가 다운되어서 근로자의 소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Web3의 서버는 다운되지 않는다. 이더리움을 사용하기 때문에 네트워크는 수천개의 컴퓨터로 구성된다.
Centralization
Decentralization
중앙 시스템의 정보를 저장하므로 정보의 전파가 빠르다.
참여자들이 분산되어 있어서 정보의 전파가 느리다.
보통 빠른 성능을 보이고 구현하기 쉽다.
낮은 성능이고 구현하기 어렵다.
데이터 충돌이 발생했을 때 처리하기 쉽다. 중앙 시스템이 가진 정보가 맞는 정보이다.
데이터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서 데이터 상태를 동기화하기위한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Single point of failure가 발생한다. 악의적인 유저가 중앙 시스템을 공격하여 네트워크를 장악할 수 있다.
Single point of failure가 발생하지 않는다. 네트워크의 참여자들이 공격받아도 중앙 시스템이 없기에 네트워크를 장악할 수 없다.
중앙 기관에서 관리하므로 네트워크 참여자들을 조율하기 쉽다. 네트워크나 프로토콜의 업데이트를 참여자들이 적용하게 하기 쉽다.
중앙 시스템이 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네트워크나 프로토콜의 업데이트가 매우 어렵다. 만약 프로토콜 업데이트가 모두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네트워크가 고장난다.
중앙 기관이 검열할 수 있다.
검열이 매우 어렵다.
네트워크의 참여는 중앙 기관의 관리를 받는다.
누구나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